2024년 한국 계약직 근로자 현황 – 평균 급여부터 비율까지 한눈에
📊 2024년 한국 계약직 근로자 현황 – 평균 급여부터 비율까지 한눈에
노동시장에서 고용 형태가 다양해지며 계약직 근로자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규직과 비교해 급여, 근속 기간, 고용 안정성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관련 통계를 궁금해하죠. 오늘은 2024년 기준 우리나라 계약직 근로자의 평균 급여, 근로자 수, 전체 근로자 대비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계약직 평균 급여는 얼마일까?
2024년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04만 8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약 9만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79만 6천 원으로, 약 175만 원의 격차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임금 격차는 단순 소득 차이를 넘어, 사회적 불균형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 계약직 근로자 수는 몇 명일까?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현재 계약직(기간제) 근로자 수는 499만 9천 명으로 전년 대비 19만 명 증가했습니다. 여기에 한시적 근로자까지 포함하면 562만 8천 명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1000만명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존재하고 있고, 중소기업은 정규직이라고 하더라도 임금이 높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힘든 상황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전체 근로자 중 계약직 비율은?
2024년 8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자 수는 2,214만 3천 명이며, 이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845만 9천 명으로 전체의 38.2%를 차지합니다. 이는 전년보다 1.2%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비정규직 고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체 근로자의 대략40%가 비정규직이며, 정규직이라도 비정규직과 비슷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우리 사회의 상당수 구성원이 낮은 임금을 받고 있다고 생각되지 않으세요? 204만원을 받으면서 결혼과 자녀출산을 생각하기에는 정말 쉽지 않을 것 같아요.
📌 정리하며 –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계약직 근로자는 여러가지로 불리하고 고통스러운 상황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0만원의 급여로 주거를 제외하고 나면 미래를 위해 쓸 수 있는 금액이 얼마나 될까요? 낮은 임금은 우리 사회 전반의 활력을 떨어뜨릴 것입니다. 돈이 돌지 못하는 상황에 빠지게 되는 것이지요. 소득이 높은 층에서는 해마다 해외 여행을 하고, 유학을 계획하지만 반대 계층에서는 꿈도 꾸지 못할 상황이 되는 것인 것 같습니다. AI의 발달로 이런 격차는 지금도다 더 커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결국 높은 급여는 기업의 높은 생산성에서 나온다고 봅니다. 더 좋은 기업들이 늘어나고, 생존형 기업이 아닌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은 대기업이 되도록 촉진해서 사회 전반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지고, 급여가 인상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불안정한 사람들이 많게 되면 결국 사회적으로도 국가적으로도 불안지수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 본 글은 통계청 및 고용노동부 2024년 공식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